2019.08.21
선택한 트랜지스터가 실제 동작에서 적절한지 판단하기 위한 방법과 순서에 대한 마지막 편으로, 최종 정리를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우측 플로우차트 및 하기 목록에 따라, 선택한 트랜지스터가 실제 사용 조건에서 적절한지, 그리고 충분히 신뢰성과 안전이 확보된 조건에서의 동작인지에 대해 확인했습니다.
하기에 각 항목의 키 포인트를 정리하였습니다.
・기본적으로 프로토타입 제작 시, 선택한 트랜지스터가 실제 동작에서 사용 가능한지 확인이 필요하다.
・확인을 위해, 트랜지스터가 취급하는 전압과 전류 데이터를 측정한다.
・절대 최대 정격의 정의와 의도를 정확히 이해하여,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SOA (Safe Operating Area : 안전 동작 영역)는, 트랜지스터가 안전한 조건하에서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정보.
・기본적으로 ID와 VDSS와의 관계에 있어서, 정격전압 및 전류, 허용전력 (발열)에 대해 안전한 영역이 그래프에 기재되어 있다.
・SOA 조건을 확실히 확인하여, 실제 사용 조건과의 차이를 고려한 후에 이용한다.
④사용 주위 온도에서 마진 확보한 SOA 이내인지 확인
・SOA 그래프는 Ta=25℃일 때의 데이터이므로, 실제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온도에 따라 SOA의 마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마진 확보 비율은, 허용 손실의 마진 확보 비율을 이용한다.
⑤연속 펄스 (스위칭 동작)
・연속 펄스 (스위칭 동작)의 경우, 평균 소비전력을 구하여 허용 손실이 정격 이내인지 확인한다.
・최종적으로는 Tj가 절대 최대 정격을 초과하지 않았는지가 판단의 근본이 된다.
・최종적으로 Tj가 절대 최대 정격을 초과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Ta 또는 Tc와 발열 (열저항×소비전력)의 합계가 Tj가 된다.
「실제 동작에서 트랜지스터의 적합성 확인」은 이로써 마무리하고자 합니다. 각 확인 항목의 실시는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이지만, 회로 설계에 있어서 피할 수 없는 과정임을 인지하여 주십시오.
로옴이 주최하는 세미나의 배포 자료입니다. 기기의 에너지 절약, 고효율화에 대응하여 진화를 거듭하는 실리콘계 파워 디바이스.
다이오드, MOSFET의 기본에서 선택 방법, 최신 디바이스 특성, 어플리케이션 사례를 게재하고 있습니다.
로옴이 주최하는 세미나의 배포 자료입니다. 기기의 에너지 절약, 고효율화에 대응하여 진화를 거듭하는 실리콘계 파워 디바이스.
다이오드, MOSFET의 기본에서 선택 방법, 최신 디바이스 특성, 어플리케이션 사례를 게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