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12
키 포인트
・드라이버 소스 단자가 있으면, Turn-on 및 Turn-off 손실을 크게 저감할 수 있다.
・스위칭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ID의 Turn-on 피크 및 VDS의 Turn-off 서지가 커지는 경우에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
지난 편에서는 드라이버 소스 단자의 유무에 따른 차이와 효과에 대해, 동작 원리와 수식을 통해 설명했습니다. 드라이버 소스 단자가 있는 MOSFET는 소스 단자의 인덕턴스로 인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스위칭 손실을 저감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더블 펄스 시험을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드라이버 소스 단자가 없는 MOSFET와 드라이버 소스 단자가 있는 MOSFET의 실제 스위칭 동작을 비교하기 위해, 오른쪽 회로에서 Low-side (LS) MOSFET를 스위칭시키는 더블 펄스 시험을 실시하였습니다.
High-side (HS) MOSFET는 RG_EXT를 통해 게이트 단자와 소스 단자 또는 드라이버 소스 단자에 접속하고, Body Di를 통한 프리휠링 (転流 / Freewheeling) 동작만으로 사용하였습니다. 회로도에서는 실선이 소스 단자에 대한 접속, 점선이 드라이버 소스 단자에 대한 접속을 나타냅니다.
Turn-on 시와 Turn-off 시 각각의 드레인 – 소스 전압 VDS와 드레인 전류 ID의 파형, 그리고 스위칭 손실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시험에 사용하는 것은 최대 정격 (VDSS) 1200V, ON 저항 (RDS(on)) 40mΩ의 SiC MOSFET입니다. TO-247N 패키지 (품명 : SCT3040KL)가 드라이버 소스 단자가 없는 제품, TO-247-4L (SCT3040KR) 및 TO-263-7L (SCT3040KW7)이 드라이버 소스 단자가 있는 제품입니다. 구동 조건은 RG_EXT 10Ω, 인가 전압 VHVDC는 800V, ID는 약 50A일 때의 파형입니다.
Turn-on 시의 ID는 드라이버 소스 단자가 없는 TO-247N 제품 (하늘색 점선)에 비해, 드라이버 소스 단자가 있는 TO-247-4L 제품 (적색 점선)과 TO-263-7L 제품 (녹색 점선)이 급격하게 상승합니다. 그 결과, 스위칭 손실이 TO-247N 제품 (하늘색 선)은 2742μJ인 반면, TO-247-4L 제품 (적색 선)은 1690μJ로 약 38% 저감, TO-263-7L 제품 (녹색 선)은 2083μJ로 24% 저감되어, 대폭 저감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Turn-on 파형에서 TO-247-4L의 ID 피크치가 TO-247N에 비해 23A 큰 80A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MOSFET의 스위칭 동작에 따른 COSS로의 충방전 에너지는 일정하지만, 드라이버 소스 단자에 의한 고속 스위칭이 가능해짐에 따라 충방전 시간이 짧아져, 결과적으로 충전 전류의 피크치가 커졌기 때문입니다. HS 측 MOSFET의 Self Turn-on으로 인해서도 피크 전류가 증가하지만, 본 예에서는 Self Turn-on으로 인한 것은 아닙니다.
TO-263-7L의 ID 피크치는 60A로 TO-247-4L만큼 크지는 않습니다. 이것은 뒤에서 설명할 Turn-off 서지의 차이와 마찬가지로 프리휠링 (転流 / Freewheeling) 측 MOSFET (HS)의 패키지 인덕턴스 차이로 인한 것입니다. 즉, dID/dt에 의한 스위칭 측 (LS) 및 프리휠링 측 MOSFET를 더한 패키지 인덕턴스로 인한 전압 발생이, 스위칭 측 MOSFET의 VDS를 낮추어 스위칭 측 MOSFET의 COSS에 축적된 에너지를 방전시키는데, TO-263-7L은 그 방전 전류가 작아 Turn-on 시의 ID 피크치도 작아지는 것입니다.
또한, Turn-on 시의 스위칭 손실 EON도 동일한 이유로, TO-247-4L의 경우 스위칭 측 MOSFET의 VDS를 낮추고, 결과적으로 스위칭 손실 EON이 작아지게 됩니다.
그러나, TO-247-4L이나 TO-263-7L은 Self Turn-on 대책이 없으면, Self Turn-on이 발생하는 경우에 Turn-on 전류의 피크치가 더욱 증가될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밀러 클램프 회로나 게이트 소스 사이에 수 nF의 콘덴서를 접속하는 등, Self Turn-on 대책을 실시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어플리케이션 노트 「SiC-MOSFET 게이트 – 소스 전압의 서지 억제 방법」 편을 참조하여 주십시오.
다음으로, 하기는 Turn-off 시의 파형입니다. 스위칭 손실은 TO-247N 제품 (하늘색 실선)이 2093μJ인 반면, TO-247-4L 제품 (적색 실선)은 1462μJ로 약 30% 저감, TO-263-7L 제품 (녹색 실선)은 1488μJ로 약 29% 저감되어, Turn-on 시보다는 저감 폭이 낮기는 하지만,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Turn-off 시 VDS에 관측되는 Turn-off 서지의 발생 요인은, 메인 회로의 총 기생 인덕턴스입니다. 앞서 게재한 더블 펄스 시험 회로의 배선 인덕턴스 LMAIN과 스위칭 측 및 프리휠링 측 MOSFET의 패키지 인덕턴스 (LDRAIN+LSOURCE)의 합계치입니다. 따라서, 패키지 인덕턴스가 거의 동일한 TO-247-4L (적색 실선)과 TO-247N (하늘색 실선)의 경우 dID/dt가 고속화될수록 서지는 커지게 됩니다. 이 시험에서는 TO-247N은 890V인 반면 TO-247-4L은 1009V로 119V 정도 커져, 스너버 회로 등의 서지 대책이 필요하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드라이버 소스 단자가 있는 TO-263-7L (녹색 실선)과 TO-247-4L (적색 실선)보다 서지가 작은 이유는 패키지 구조의 차이 때문입니다. TO-263-7L의 드레인은 패키지 배면의 fin에 할당되어, PCB에 직접 솔더링됩니다. 또한, 소스 단자는 7개 단자 중 5개에 할당되어, 패키지 인덕턴스가 TO-247-4L보다 작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스위칭 측의 서지는 스위칭 측이 아니라 프리휠링 측의 패키지 인덕턴스가 작을수록 작아집니다.
하기는 스위칭 손실 비교를 정리한 표입니다.
패키지 (품명) | 드레인 소스 단자 | EON[μJ] | EOFF[μJ] |
---|---|---|---|
TO-247N (SCT3040KL) | 無 | 2742 | 2093 |
TO-247-4L (SCT3040KR) | 有 | 1690 | 1462 |
TO-263-7L (SCT3040KW7) | 有 | 2083 | 1488 |
조건 : VDS=800V, ID=50A, RG_EXT=10Ω
로옴이 주최하는 세미나의 배포 자료입니다. 파워 제품의 소형화, 저소비전력화, 고효율화에 큰 가능성을 가진 실리콘 카바이드 (SiC)의 특성 기본, 다이오드, 트랜지스터로서의 사용 방법과 활용 사례를 게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