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DC|응용편

스텝 응답 파형 예

2022.04.13

키 포인트

・위상 마진의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의 대처 방법 중 하나로, 스텝 응답법을 사용하여 간이적으로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다.

・스텝 응답의 관찰 파형에서, 링잉이 작고 안정화가 빨라지는 정수를 찾아낸다.

・스텝 응답 특성은 몇가지 요소에 의한 종합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1개의 부품 정수만이 아니라 다른 부품에 대해서도 검토하여 최적화한다.

지난 편에서는 스텝 응답의 측정 방법과 회로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이번에는 측정 데이터의 예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스텝 응답 파형 예

하기 파형도는, 회로도의 RESR을 0Ω~1Ω으로 변화시키는 경우의 스텝 응답 (부하 과도 응답)의 예입니다.

①은 RESR이 0Ω, 즉 저항을 추가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부하 전류가 상승하면 출력은 발진을 일으킵니다. 이것이 출력 콘덴서에 MLCC를 사용하면 발진한다는 현상의 예입니다. 위상의 관점에서는 마진이 거의 없는 상태입니다.

②는 RESR을 0.1Ω으로 변경한 경우입니다. 링잉이 발생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화되지만, 안정화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고, 링잉이 노이즈로서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상태입니다.

③은 RESR이 0.2Ω인 경우입니다. 링잉은 대폭 저감되었습니다. 여기부터 시간축이 20µs/div이므로 주의하여 주십시오.

이후 RESR을 1Ω까지 증가시키면 링잉은 약간 저감되지만 응답이 늦어져, 부하가 상승하는 타이밍에서의 출력전압 강하가 커지게 됩니다.

하기 6개의 예에서는 ③이나 ④, 또는 그 중간 정도의 값에 해당하는 RESR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본 예에서는 CO가 22µF이지만, CO의 정전용량이 변하면 특성도 변하게 됩니다. 최적화를 위해서는 용량에 대한 고려도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부하 전류치, 전류 스텝의 slew rate, 리니어 레귤레이터 IC의 종류 등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있습니다. 따라서, 일률적으로 정수를 정하는 것은 어렵고, 어떤 회로 조건에서 결정한 최적의 정수가 다른 회로에서도 통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스타트 라인으로서는 예시의 저항치 정도가 기준이 될 것으로 생각되지만, 다른 조건도 함께 고려하여 대처해야 합니다.

【자료 다운로드】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기초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기초로서, 동작 원리, 분류, 회로 구성에 의한 특징, 장단점을 이해하기 위한 자료입니다.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대표적인 사양 (규격치)과 효율 및 열 계산에 대해서도 게재하고 있습니다.

기술 자료 다운로드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기초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기초로서, 동작 원리, 분류, 회로 구성에 의한 특징, 장단점을 이해하기 위한 자료입니다.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대표적인 사양 (규격치)과 효율 및 열 계산에 대해서도 게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