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06
키 포인트
・여러 개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IC나 전자기기의 전원에는, 투입 · 차단의 순서 = 시퀀스의 제어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시퀀스 제어 IC나 시퀀스 서포트 기능을 지닌 전원 IC를 사용하지 않고, 범용 전원과 외부 회로를 통해 시퀀스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기초 지식 DC-DC 「응용편」의 제1탄으로, 「범용 전원 IC로 전원 시퀀스를 실현하는 회로」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FPGA나 DSP와 같이 복잡한 기능을 지닌 여러 개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IC나, 복수 계통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에서는 전원의 투입이나 차단의 순서가 사양으로 정해져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사항을 지키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기동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디바이스를 손상시키기도 합니다.
여러 개의 전원을 투입하거나 차단할 때의 순서를 전원 시퀀스라고 합니다. 하기 그림은 3계통 전원에 관한 시퀀스 제어의 이미지입니다.
전원 시퀀스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전원 시퀀스 전용 IC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전원 IC에 시퀀스 기능을 탑재한 타입이나 시퀀스 제어를 서포트할 수 있는 Power Good 출력 등의 기능을 지닌 타입이 있으므로, 이러한 제품을 이용하면 비교적 간단하게 시퀀스 회로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본 편에서는 전용의 전원 시퀀스 IC 또는 시퀀스 제어를 서포트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원 IC를 사용하지 않고, 출력의 ON / OFF (enable) 기능만을 지닌 범용 전원 IC와 외부 회로를 통해 전원 시퀀스를 실현하는 회로의 예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2종류의 시퀀스 사양으로 나누어, 각 사양의 제어 블록도 구성, 회로 예, 동작 예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기초로서, 동작 원리, 분류, 회로 구성에 의한 특징, 장단점을 이해하기 위한 자료입니다.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대표적인 사양 (규격치)과 효율 및 열 계산에 대해서도 게재하고 있습니다.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기초로서, 동작 원리, 분류, 회로 구성에 의한 특징, 장단점을 이해하기 위한 자료입니다.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대표적인 사양 (규격치)과 효율 및 열 계산에 대해서도 게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