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DC|응용편

전원 시퀀스 사양 ① : 실제의 동작 예

2023.02.08

키 포인트

・전원 시퀀스 ①의 사양과 회로 동작, 파형을 확인한다.

전원 시퀀스 사양 ①에 대해, 지난 편에서는 실제의 회로 예와 각 설정을 위한 정수 계산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이번에는 그 회로의 실제 동작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전원 시퀀스 사양 ① : 실제의 동작 예

하기 회로는 지난 편에서 다룬 전원 시퀀스 ①을 실현하는 회로 예입니다. 동작 확인용으로 다시 게재하였으니, 참조하여 주십시오.

다음으로, 실제의 동작 파형입니다.

VIN 5.0V가 인가된 상태에서, VOUT의 ON / OFF를 제어하는 Enable이 “H” 레벨이 되면, VOUT의 기동이 시작됩니다.

먼저 DC-DC 1에 의한 VOUT1 1.2V가 기동됩니다. 파형도에서는 황색 파형입니다.

VOUT1이 Power Good 블록 IC 1에 설정한 임계치인 VOUT1의 90%에 해당하는 전압에 도달하면, PGOOD 출력이 DC-DC 2를 Enable하여, 2번째 출력 VOUT2 3.3V (황녹색)의 기동이 시작됩니다.

마찬가지로 VOUT2가 90%에 해당하는 전압에 도달하면, Power Good 블록 IC 3이 DC-DC 3을 Enable하여, 3번째 출력 VOUT3 1.5V (하늘색)의 기동이 시작됩니다.

이것이 기동 시의 시퀀스 동작입니다.

차단 시에는 기동 시와 반대의 순서로 VOUT3부터 차단됩니다.

Enable이 “L” 레벨이 되면, DC-DC 3이 직접 Disable되어 OFF되고, 동시에 Discharge 회로도 ON되어 VOUT3을 설정한 시간에 그라운드 레벨 근처까지 낮아집니다.

VOUT3이 Power Good 블록 IC 4의 임계치인 0.5V를 밑돌면, IC 4의 PGOOD 출력이 DC-DC 2를 Disable하고, 마찬가지로 Discharge 회로도 ON하여 VOUT2를 낮춥니다.

VOUT2가 Power Good 블록 IC 2의 임계치인 0.5V를 밑돌면, 전단과 마찬가지로 IC 2의 PGOOD 출력이 DC-DC 1을 Disable하고, Discharge 회로도 ON하여 VOUT2를 낮춥니다.

이로써 3개의 모든 차단 시퀀스가 종료되어 모든 출력이 OFF됩니다.

다음 편에서는 시퀀스 사양 ②에 대해 설명할 예정입니다.

【자료 다운로드】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기초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기초로서, 동작 원리, 분류, 회로 구성에 의한 특징, 장단점을 이해하기 위한 자료입니다.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대표적인 사양 (규격치)과 효율 및 열 계산에 대해서도 게재하고 있습니다.

기술 자료 다운로드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기초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기초로서, 동작 원리, 분류, 회로 구성에 의한 특징, 장단점을 이해하기 위한 자료입니다.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대표적인 사양 (규격치)과 효율 및 열 계산에 대해서도 게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