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4.22
키 포인트
・출력으로부터의 귀환 신호 라인은 스위칭 노드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한다. 노이즈의 영향을 받게 되면 오차나 오동작이 발생한다.
・비아를 통해 기판 이면에 배선하는 방법도 있다.
본 편에서는 출력으로부터의 신호를 전원 IC의 FB 단자에 귀환시키기 위한 배선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귀환 경로의 배선
귀환 신호의 배선은 신호 배선 중에서도 특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귀환 신호는, Figure 7-a의 왼쪽 회로도와 같이 출력전압은 배선을 통해, 저항에 의해 분압되어 전원 IC의 FB PIN 즉 에러 앰프의 입력에 귀환되고, 전원 IC는 그 전압 정보를 바탕으로 출력전압의 안정화를 실행합니다. 이러한 귀환 경로가 중요한 이유는, 만약 실제의 출력전압 이외의 노이즈 및 변동이 에러 앰프에 전달되면, 정확한 출력 안정화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건에 따라서는 발진 등 동작이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귀환 경로는 깨끗한 신호를 귀환시킬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합니다.
하기는 배선 시의 주의점입니다. Figure 7-a의 오른쪽 그림을 참조하여 주십시오.
이러한 점에 주의하여, 실제의 배선을 실시합니다. Figure 7-c는 비아를 통해 귀환 경로에 배선을 이면으로 이동하여, 스위칭 노드로부터 거리를 둔 레이아웃의 예입니다. 기판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상기의 조건을 완벽하게 만족할 수 있는 배선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특히 배선의 기본은 「가능한 짧게」입니다. 따라서, 하기의 기판에서 무턱대고 귀환 배선을 길게 하여 회로 전체로부터 거리를 두는 것은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귀환 신호의 배선을 이면으로 전개하는 아이디어도 있습니다.
Figure 7-d는 좋지 않은 예입니다. 귀환 경로가 인덕터에 평행하게 레이아웃되어 있으므로, 인덕터 주변에 발생하는 전계로 인해 귀환 경로에 노이즈가 유도됩니다.
실제로 다른 부품과의 관계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이상적인 배치 및 배선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상적인 배치의 기본이 무엇인지를 생각하여, 최대공약수적인 타협점을 찾아내야 합니다.
로옴이 주최하는 세미나의 배포 자료입니다. 리니어 레귤레이터와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기초에 대한 내용입니다.
동작 원리, 종류, 특징 이외에도,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관해서는 최신 전원 IC의 제어 방법 및 기능에 관한 정보를 게재하고 있습니다.
로옴이 주최하는 세미나의 배포 자료입니다. 리니어 레귤레이터와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기초에 대한 내용입니다.
동작 원리, 종류, 특징 이외에도,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관해서는 최신 전원 IC의 제어 방법 및 기능에 관한 정보를 게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