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6.21
새로운 LDO 리니어 레귤레이터 G 시리즈, H 시리즈, I 시리즈는 총 91기종의 라인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출력전압은 가변 타입의 경우 0.8V~13V, 고정 타입의 경우 1V~12V까지의 14종류의 전압이 구비되어 있으며, 출력 정밀도는 1%로 고정밀도입니다. 출력전류는 0.3A~1.5A까지의 4종류로,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습니다.
이 시리즈의 라인업과 사양은 하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G 시리즈 | H 시리즈 | I 시리즈 | |
---|---|---|---|
입력 전원전압 범위 | 4.5V~14.0V | 4.5V~8.0V | 2.4V~5.5V |
최대 출력전류 | 0.3A, 0.5A, 1.0A | 0.3A, 0.5A, 1.0A, 1.5A | 0.5A, 1.0A |
출력전압 설정 범위 (가변 타입) | 1.5V~13.0V | 1.5V~7.0V | 0.8V~4.5V |
출력전압 (고정 타입) | 1.5V, 1.8V, 2.5V, 3.0V, 3.3V, 5.0V, 6.0V, 7.0V, 8.0V, 9.0V, 10V, 12V |
1.5V, 1.8V, 2.5V, 3.0V, 3.3V, 5.0V, 6.0V, 7.0V |
1.0V, 1.2V, 1.5V, 1.8V, 2.5V, 3.0V, 3.3V |
상기 표에서 출력전류가 가장 큰 제품은 H 시리즈의 1.5A 제품이며, 예를 들어 7V 출력인 경우, 10.5W의 출력전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여러 조건으로 인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여러분도 알고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기본적으로 전원 IC로 대표되는 대전력 취급 IC는 열에 의존하므로 얻을 수 있는 전력이 제한됩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칩의 온도인 Tj는 최대 정격인 Tj max를 초과해서는 안되므로, Tj max 이내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경우 Tj 산출식은 하기와 같습니다.
Tj = 자기 발열+Ta
=(열 저항 θja×소비전력 W)+Ta
={θja×(입출력 전압차×출력전류) W}+ Ta
이 식에서는 간단한 설명을 위해, 소비전력에 자기 소비전력을 포함시키지 않았습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입력전압×자기 소비전류)만큼의 전력을 추가해야 하지만, 자기 소비전류가 작고 출력전류가 큰 경우에는 출력전력이 지배적입니다.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 출력전압은 지정된 전압으로 해야 하므로, 고려해야 할 것은 출력전류 즉, 필요한 부하 전류를 얻을 수 있는지의 여부가 쟁점이 됩니다. 그 계산을 하기 전에, 그 이외에도 조정 가능한 항목과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항목이 있는 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물론 Tj max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입출력 전압차는 영향이 큰 요소이지만, 입력전압은 대부분 정해져 있습니다. 하나의 리니어 레귤레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조건이 유리해지는 입력전압원을 구비할 수는 없습니다. 즉 입출력 전압차도 통상적으로는 변경할 수 없는 항목인 것입니다.
Ta는 설계하는 기기의 온도 사양이 있으므로, 예를 들어 0℃~50℃로 기기의 온도 사양이 정해져 있다면, Ta의 최대치는 50℃입니다. 그러나, 기기 내부에 탑재되는 것을 고려하면 발열로 인해 기기 내부 온도가 상승하므로, 이를 더한 Ta로 계산하게 됩니다. 팬 등을 통해 냉각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조건에서의 Ta를 사용하지만, Ta는 조정이 어려운 부류라고 생각하는 것이 무난합니다.
결과로서, 통상적으로는 열로 인해 제한되어 원하는 출력전류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열 저항을 낮추는 것이 가장 좋은 대처법입니다. 열 저항을 낮추기 위해서는, 열 저항이 낮은 패키지의 IC를 사용하거나, 방열 특성이 좋은 다층 구조의 실장 기판을 사용하거나, 방열기를 부착하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최근 폼 팩터를 포함한 스페이스 절약에 대한 요구를 고려하면, 방열기 부착이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패키지와 기판을 통한 방열을 검토하는 것이 좋습니다.
본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신규 시리즈는 모두 이면에 방열판이 노출되어 있는 HTSOP-J8 패키지 (4.9×6.0×1.0mm)를 채용하였습니다. 이 패키지의 방열판을 방열이 필요한 기판에 soldering함으로써, 열 저항을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하기는 HTSOP-J8 패키지의 허용 손실 그래프입니다.
앞서 예로 들은 7V / 1.5A 출력의 경우의 입력전압을 12V로 하여 계산해보겠습니다. Tj max는 150℃입니다.
출력 소비전력 = (12V-7V)×1.5A = 7.5W
그래프에 따르면 최대 허용 손실이 3.76W (⑤의 조건 θja=33.3W/℃)이므로, 이 출력전류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때 자기 발열이 7.5W×33.3℃≒250℃이므로, Ta를 생각할 필요도 없이 완전히 사용 불가인 것입니다.
Ta를 50℃로 상정하면, 열 저항이 가장 낮은 ⑤의 조건에서 허용 전력은 3W입니다. 역산하면, 0.6A가 이 조건에서의 한계임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열 저항을 더 낮출 수 있다고 가정하고 역산하면, (Tj max 150℃-Ta 50℃)÷7.5W=13.3℃므로, 이것이 실현된다면 1.5A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실제의 출력전류를 결정하는 요소는 Tj, 즉 발열과 주위온도인 것입니다. 참고로, 이 조건에서는 1.5A 제품을 사용할 경우나 1A 제품을 사용할 경우 모두 결과는 동일합니다.
제품 정보
기술 자료 및 셀렉션 가이드 등 다운로드 자료를 구비하고 있습니다.
기술 자료 및 셀렉션 가이드 등 다운로드 자료를 구비하고 있습니다.